장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자 VS 장자 바둑을 배울 때 '정석을 알고는 잊어버려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너무 정석에 얽매어서 다양한 가능성과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공자를 알고는 잊어버려야하는건 아니었을까? 물론 공자의 가르침이 끼친 좋은 영향들도 있을 것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오랜 기간 공자 말씀을 금과옥조처럼 여겨온 것에 따른 폐단도 만만치 않다는 생각이 든다. 공자가 현실정치 참여를 적극적으로 꾀하면서 설파한 내용들은 임금과 신하 사이에서는 임금 입장의 효과적인 통치를 위함이요, 집안에선 가장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아니었을지. 그래서 그런지 장자를 읽으면서 종종 장자가 공자를 비판하는 대목이 나오면 흥미가 당긴다. 공자(孔子, 기원전 551 ~ 기원전 479)와 장자(莊子기원전 369출생~ 기원.. 더보기 장자 - 덕충부 *덕충부편 - 장자가 말하는 도란 연속된 세상에서 각득기의에 따라 평등하게 거래하며 유전하는 존재의 과정을 칭한다. 그리고 덕은 도가 개별자의 마음 속에 깃든 것을 이른다. 그러니 '덕이 마음에 가득찼음을 나타내는 신표'라는 뜻의 "덕충부"는 곧 '도가 깃든 개별자의 마음', 달리 말해 '존재의 실상을 회복한 개별자들의 마음'이란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는 이야기들이라고 할 수 있다. "덕충부"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덕충자-존재의 실상을 회복한 개별자-로 등장하는 인물들이 모두 기형이나 불구의 몸인 반면, 덕이 부족한 사람들은 모두 번듯한 외모와 사회적 지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대비는 장자의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내 보여주는데, 즉 형에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날 때에야 비로소 존재의 실상을 회복할 .. 더보기 장자 - 장자는 자신의 저서 전편을 통하여 줄기차게 유가의 가치관에 대항하여 싸웠다. 장자 내편 외편 잡편 어디를 펼쳐보아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장자가 공자를 가상의 무대 위로 불러내어 비판과 면박, 풍자와 조롱을 번갈아 안겨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원래 유가는 외형상으로는 수신제가 치국 평천하를 외쳤으나, 사실은 그들에게 있어서 수신과 제가는 뒷전의 일이고 주관심사는 치국과 평천하에 있었다. 공자의 유명한 천하주유 13년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여러나라를 돌아다니며 정치를 해보기 위함이었지 내면세계의 수양을 위한 것은 아니었지 않은가! 그러면서도 유가는 계속 입으로는 수신 제가를 주장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기 때문에 진정한 수신의 철학을 위해 평생을 노력해온 장자가 보기에는 유가의 행태가 실로 위선적으로 밖..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