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이 파인 티셔츠를 입은
올케의 마른 빗장뼈가 슬몃 드러났다. 너무 말랐구나.
-.물기가 습습하게 밴 목소리였다.
-.찰기 없는 밥알처럼 푸슬푸슬한 웃음
-.가족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파밀리아이며,
파밀리아는 한 사람에게 속한 노예 전체를 뜻한다는 걸.
길중씨야말로 이 어원에 충실한 가장이었고, 윤기는 유일하게 반기를 든 노예였다.
-.바깥의 시간은 계절을 바꾸며 흐르고, 두 사람 사이의 시간은 고여 있었다.
-.너겁 같은 시간들
-.기억 속에 묻혀있던 짜장면이 불쑥 고개를 디민 것은 그때였다.
-.하늘에 구름 몇점이 햇솜처럼 무심한 표정으로 떠 있다.
-.사람의 생각은 자기가 몸담은 곳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마음도 신문지처럼 접혀 버렸다.
-.일상의 자잘한 기억들이 쌓여 이루는 익숙함, 사람들이 정이라고 일컫는.
<이혜경의 '길위의 집'에서>
'밑줄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흘간의 만남에서 (0) | 2007.06.27 |
---|---|
그리스인 조르바 (0) | 2007.06.26 |
성공이라는 글자를 현미경으로 들려다보면 (0) | 2007.06.16 |
지금은 없는 공주를 위하여 중에서 (0) | 2007.05.27 |
한 친구에 대해 난 생각한다. (0) | 2007.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