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로 화백 기념관 썸네일형 리스트형 먼먼산 헤치고 흐르고 고암 미술상 수상작가 이진경 전시 고암 이응노 화백의 넋을 기리는 영혼제인 천도재를 지냈을 때 사용했던 재료 등도 전시하고 있었다. 나는 흥미롭게 보고 있는데 옆에선 이런 주술적 분위기가 싫은지 슬며시 나가버린다. 영상에서는 작가의 의도와 작업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더보기 고암 이응로 생가 기념관 이응로 기념관과 생가터 고암 이응로 화백의 출생지는 충청남도 홍성. 1924년 서울로 올라와 김규진에게 묵화를 사사. 일본에 유학하여 일본화법과 서양화의 기초를 익힘. 6·25 전쟁 때 월북한 아들 관계로 베를린에서 북한 공작원과 만난 것이 반공법에 위반되어 1967년 서울로 유인된 뒤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투옥. 1969년에 특별 사면으로 풀려나 파리로 돌아갔다. 그러나 1977년에도 파리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영화배우 윤정희 부부의 북한 납치 미수 사건의 배후로 몰려 곤욕을 치름. 그 후 우리나라와 관계를 단절하고 1983년프랑스에 귀화함. 더보기 이전 1 다음